주식/주식공부

주식 캔들(1)

아지!! 2023. 7. 27.
반응형
SMALL

캔들 차트를 고안해 낸 사람은 일본의 혼마 무네히사라는 쌀장사를 하는 상인입니다. 쌀을 매매하는 데 있어서, 좀 더 쉬운 방법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캔들의 기본 구조

*시가 : 장 시작할 때 처음 매매된 가격

*종가 : 장 마감될때 마지막으로 체결된 가격

*고가 : 주가가 장중에 가장 높았던 가격

*저가 : 주가가 장중에 가장 낮았던 가격

캔들차트의 특징은  가격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색깔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양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높을 때(상승) 빨간색으로 나타내고, 음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낮을 때(하락) 파란색으로 나타냅니다.

반전을 알리는 캔들 

도지

*도지는 시가와 종가가 동일합니다.

*추세전환 신호로 다음날 나타나는 캔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저점에서는 상승추세, 고점에서는 하락추세로의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입니다.

긴 십자형 도지

*위, 아래의 길이가 긴 도지를 말합니다.

*추세전환 신호로 일반 도지보다 신뢰성이 높습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힘의 균형이 같다는 것입니다.

 

잠자리형 도지

*시가, 종가, 고가가 똑같을 경우 발생합니다.

*하락추세의 마지막 무렵에 발생할 경우 상승추세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비석형 도지

*시가, 저가, 종가가 똑같을 경우 발생합니다.

*매수세력보다 매도세력이 우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강력한 매도 신호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상승추세 마지막 무렵에 발생하면 하락 추세 전환 신호로 해석 할 수 있습니다.

우산형(Umbrella)

우산형 캔들은 몸통 윗부분의  윗꼬리는 거의 없고 몸통 밑에 아래 꼬리가 몸통 길이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때 몸통 색깔은 음봉이나 양봉이나 중요하지 않습니다. 해머는 망치형 캔들로 하락추세에서 발생하면 상승 전환을 예상할 수 있는 매수 신호입니다. 행인맨은 교수형에 처한 사람이란 뜻의 캔들로 상승추세에서 발생하면 하락 전환을 예고하는 매도 신호입니다.

장악형

장악형 캔들이란 두 개의 캔들을 비교했을 때 전날에 발생한 캔들이 그다음 날에 발생한 캔들에 의해  완전히 감싸지고 있는 형태를 말합니다. 전날의 시세를 반영한 캔들을 그다음 날 캔들이 완전히 장악한다면 장악한 캔들의 추세를 따르게 되는 것입니다. 위, 아래의 꼬리는 무시해도 되지만 몸통 색은 서로 반대여야 합니다. 장악형 캔들에는 상승장악형과 하락 장악형이 있습니다. 상승장악형 캔들은 하락추세의 바닥권에서 발생합니다. 하락장악형 캔들은 상승추세의 끝무렵에 발생합니다.

잉태형

긴 몸통(어머니) 다음에, 작은 몸통(아기)이 나오는 경우입니다. 잉태형은 일정한 추세 이후에 긴 몸통 캔들이 발생하고 전날과 그다음 날에 서로 반대되는 색깔로  추세반전을 예고하는 신호입니다. 전날 발생한 캔들이 그다음 날 발생한  캔들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입니다. 잉태형에는 하락장세에서 상승반전을 예고하는 상승잉태형과 상승장세에서 하락반전을 예고하는 하락잉태형이 있습니다.

 

반응형
LIST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삼병과 흑삼병  (0) 2023.07.31
주식캔들(2)  (2) 2023.07.27
추세전환  (2) 2023.07.21
추세선  (0) 2023.07.18
추세  (0) 2023.07.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