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MALL 주식21 거래량 분석 지표 OBV OBV지표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을 통해 분석하는 지표입니다. OBV개념 1) 전일 종가보다 주가가 상승했을 때, 당일 거래량은 전량 매수했다고 보고 전일 OBV에 더합니다. 2) 전일 종가보다 주가가 하락했을 때, 당일 거래량은 전량 매도했다고 보고 전일 OBV에서 뺍니다. 3) 전일 종가와 당일 종가가 같을때, 당일 거래량은 무시하고 전일 OBV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OBV 활용법 1)OBV 를 활용하는 것은 그 종목이 매집단계에 있는지 아니면 분산단계에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2) OBV가 상승하는 것은, 매수에너지가 집중되는 매집단계로 주가상승을 예고합니다. 3) OBV가 하락하는 것은, 매수에너지가 분산되는 분산단계로 주가하락을 예고합니다. 4) OBV가 상.. 주식/주식공부 2023. 8. 18. 파라볼릭 SAR 지표 파라볼릭 SAR 지표 1) 추세전환 시점을 알려주는 지표로, 포물선 모양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2) 파라볼릭 SAR이 주가 아래에 위치하면 상승추세입니다. 3) 파라볼릭 SAR 이 주가의 위에 위치하면 하락추세입니다. 4) 파라볼릭 SAR 이 주가와 교차할 때는 추세전환을 예고합니다. 5) 파라볼릭 SAR은 방향성과 추세의 지속기간 그리고 추세의 반전지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6) 파라볼릭 SAR은 추세가 확실할 때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지만, 추세가 불분명한 횡보장에서는 잘못된 신호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집니다. 파라볼릭 SAR 지표 설정방법 키움증권 HTS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종합 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아래 창에서 지표추.. 주식/주식공부 2023. 8. 15. 이격도 이격도 1)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 부터 멀어지면, 다시 이동평균선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런 성질을 파악해서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얼마나 떨어져 있는가를 수치화한 것을 말합니다. 2) 단기 매매시점을 포착할 수 있는 보조지표입니다. 3) 일반적으로 20일, 60일 이동평균선을 주로 사용합니다. 4) 이격도 구하는 공식 5) 예를 들어 계산하기 쉽게 20일 이동평균선값을 10,000원으로 할 경우, 주가와 20일 이동평균선 값이 일치하는 10,000원이 기준값이 됩니다. 이때 20일 이격도는 100%가 나옵니다. 즉, 이격도 100%을 기준값으로 봅니다. 6) 이격도는 100을 기준으로, 100위에 있으면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보다 위에 있고, 100 아래에 있으면 주가가 20일 이동평균.. 주식/주식공부 2023. 8. 14. MACD지표 MACD 지표 MACD 지표는 중기 추세지표로, 단기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MACD 지표 설정방법 키움증권 HTS에서 MACD 지표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종합차트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면 선택창이 뜹니다. 그 선택 창에서 지표추가를 클릭하면 아래 창이 뜹니다. 아래 창에서 찾기 빈네모칸에 MACD를 입력한 다음 적용을 클릭하면 MACD 지표가 설정됩니다. MACD 지표 구성 1) MACD = 단기지수 이동평균선(12일) - 장기 지수이동평균선(26일) 2) MACD Signal(신호선) = N일(9일)의 MACD 지수 이동평균선 3) MACD Oscillator = MACD 값 - Signal 값 MAC.. 주식/주식공부 2023. 8. 11. DMI지표 DMI는 주가의 움직임에 따라 상승 및 하락의 강도 그리고 그 추세와 방향 변화를 파악하는 지표로, 중장기 추세분석에 유리한 보조지표입니다. DMI 설정방법 키움증권 HTS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종합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선택창이 뜹니다. 그 창에서 지표추가를 클릭하면 아래 창이 뜹니다. 아래창에서 찾기 빈네모칸에 DMI를 입력하고 적용을 클릭하면 DMI지표가 설정됩니다. DMI 지표 보는 법 1)+DI : 주가의 상승 강도를 나타내는 선으로 매수의 힘을 말합니다. 2) -DI : 주가의 하락 강도를 나타내는 선으로 매도의 힘을 말합니다. 3) ADX : DI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지표로 진행 중인 추세의 상대적 강도를 측정합니다. 4) 아래 차트에서 빨간색선이 +DI 선으로.. 주식/주식공부 2023. 8. 9. 그랜빌의 8법칙 그랜빌의 법칙 그랜빌은 관성의 법칙과 회귀현상을 이용한 물리적 법칙을 주가와 이동평균선에 적용하여, 매수시점과 매도시점을 파악할 수 있는 8가지 투자기법을 만들었습니다. 관성의 법칙은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려고 하는 성질입니다. 회귀현상은 주가가 이동평균선과 이격이 벌어지면 다시 이격을 좁히려고 하는 성질입니다. 그랜빌은 주가와 여러 이동 평균선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200일 이동 평균선의 수익이 가장 좋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200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합니다. 그랜빌 법칙은 대형주나 중장기 투자 시에는 적합하지만 변동성이 큰 중. 소형주에는 부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1. 매수 1은 이동평균선이 하락하다가 횡보하거나 상승국면으로 전환할 때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국면입니다. .. 주식/주식공부 2023. 8. 1. 적삼병과 흑삼병 적삼병 적삼병은 하락추세의 바닥권에서 3일 연속 양봉이 발생하고 종가를 점점 높게 형성해 갑니다. 적삼병 발생은 상승추세의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입니다. 시가는 전일 몸통 구간 내에서 형성되고 종가는 전일 종가보다 더 높게 형성됩니다. 적삼병 발생 시 많은 거래량을 수반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상승추세 중에 적삼병이 발생하면 상승추세가 계속 지속된다는 시그널입니다. 적삼병이 발생하고 1~2일 정도 조정으로 음봉이 발생할 때 매수관점입니다. 흑삼병 흑삼병은 적삼병과 정반대입니다. 상승추세의 고가권에서 3일 연속 음봉이 발생하고 종가는 점점 낮게 형성됩니다. 적삼병 발생은 하락추세의 전환을 예고하는 것입니다. 시가는 전일 몸통 구간 내에서 형성되고 종가는 전일 종가보다 더 낮게 형성됩니다. 적삼병이 발생하면 매.. 주식/주식공부 2023. 7. 31. 주식캔들(2) 관통형 전일 저가보다 낮은 가격에서 시가가 시작되어 양봉이 발생합니다. 하락 추세에서 관통형 캔들이 발생하면 우세했던 매도세가 약해지고 신규매수세가 유입되어 상승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흑운형 흑운형은 관통형과 정반대입니다. 전날의 고가보다 높은 가격으로 시가를 형성합니다. 상승장 또는 횡보장에서 흑운형 캔들 발생 시 하락 추세로 반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락반전 신호이므로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샛별형 하락하던 주가가 하락을 멈추고 상승하게 되는 대표적인 상승 반전형 패턴입니다. 장대음봉이 나온 뒤 다음날 갭하락으로 시작된 작은 몸통을 가진 캔들 또는 도지캔들이 발생한 다음 긴 양봉이 발생합니다. 석별형 석별형은 샛별형과 정 반대입니다. 상승추세에 있던 주가가 하락 추세로 추세 전환할 가능성이 .. 주식/주식공부 2023. 7. 27. 주식 캔들(1) 캔들 차트를 고안해 낸 사람은 일본의 혼마 무네히사라는 쌀장사를 하는 상인입니다. 쌀을 매매하는 데 있어서, 좀 더 쉬운 방법으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캔들의 기본 구조 *시가 : 장 시작할 때 처음 매매된 가격 *종가 : 장 마감될때 마지막으로 체결된 가격 *고가 : 주가가 장중에 가장 높았던 가격 *저가 : 주가가 장중에 가장 낮았던 가격 캔들차트의 특징은 가격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색깔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양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높을 때(상승) 빨간색으로 나타내고, 음봉은 시가보다 종가가 낮을 때(하락) 파란색으로 나타냅니다. 반전을 알리는 캔들 도지 *도지는 시가와 종가가 동일합니다. *추세전환 신호로 다음날 나타나는 캔들을 확인해야 합니다. *저점에서는 상승추세, 고점.. 주식/주식공부 2023. 7. 27. 추세전환 추세전환 상승추세에서 직전 고점(저항선)을 돌파하지 못하면 하락 추세나 횡보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락추세에서 직전 저점(지지선)을 하향 이탈하지 않으면 상승추세나 횡보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횡보추세에서 고점(저항선)을 돌파하면 상승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고, 저점(지지선)을 이탈하면 하락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 전환 주가가 상승추세에서 전고점을 돌파하지 못하고 하락할 때 상승추세의 마지막 단계 인지를 유심히 관찰하다가, 추세선을 이탈하면 매도시점 1에서 바로 매도해야 합니다. 만약 이때 매도하지 못했다면 지지선 이탈 시 매도시점 2에서 매도해야 합니다. 매도 2 시점에서도 매도를 못했다면 마지막 불꽃을 피우며 상승하는 매도시점 3에서 매도해야 합니다.. 주식/주식공부 2023. 7. 21. 추세선 추세선 추세선은 두 개 이상의 고점 또는 저점을 연결한 선을 의미하며, 종류에 따라 상승추세선, 하락추세선, 횡보추세선으로 분류됩니다. 상승추세선 상승 추세선을 그릴 때 두 개 이상의 저점과 저점을 연결해서 그립니다. 저항이 되는 전고점을 돌파해야 상승추세라 할 수 있습니다. 전고점을 돌파한 주가가 조정을 받은 후 지지선에서 다시 지지를 받고 상승하면 상승추세임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상승추세에서 저항선이 되었던 전 고점을 돌파한 주가가 추세선을 이탈하지 않으면, 상승추세가 계속 진행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추세선을 이탈하고 내려가면 하락세로 전환할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하락 추세선 하락 추세선을 그릴때 2개 이상의 고점과 고점을 연결해서 그립니다. 하락하다가 반등하던 주가가 .. 주식/주식공부 2023. 7. 18. 추세 추세 추세란 어떤 현상이 일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뜻하는 의미로, 주식시장에서의 추세는 시장 또는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을 의미합니다. 상승추세는 매수세력이 강해서 고점과 저점이 높아지면서 상승추세로 이어집니다. 하락추세는 매도세력이 강해서 고점과 저점이 점점 낮아지면서 하락추세로 이어집니다. 횡보추세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이 힘의 균형을 이루면서 박스권이라는 횡보구간을 나타냅니다. 횡보추세는 상승추세 또는 하락추세로 가기 위한 길목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한번 형성된 추세는 계속 그 추세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상승추세 아래 차트에서 보듯이 상승흐름을 탄 종목입니다. 6개월 이상 상승추세를 유지하면서 3배 이상의 수익을 주고 있는 종목입니다. 한번 상승추세가 시작되면 그 추세를 계속 유지하려는.. 주식/주식공부 2023. 7. 14. 이전 1 2 다음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