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주식공부

DMI지표

아지!! 2023. 8. 9.
반응형
SMALL

DMI는 주가의 움직임에 따라 상승 및 하락의 강도 그리고 그 추세와 방향 변화를 파악하는 지표로, 중장기 추세분석에 유리한 보조지표입니다.

DMI 설정방법

키움증권 HTS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종합차트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하면 선택창이 뜹니다. 그 창에서 지표추가를 클릭하면  아래 창이 뜹니다. 아래창에서 찾기 빈네모칸에 DMI를 입력하고 적용을 클릭하면 DMI지표가 설정됩니다.

DMI 지표 보는 법

1)+DI : 주가의 상승 강도를 나타내는 선으로 매수의 힘을 말합니다.

2) -DI : 주가의 하락 강도를 나타내는 선으로 매도의 힘을 말합니다.

3) ADX : DI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지표로 진행 중인 추세의 상대적 강도를 측정합니다.

4) 아래 차트에서 빨간색선이 +DI 선으로, 파란색 선인 -DI선보다 위에 있을 때 주가가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5) 파란색선인 -DI선이 빨간색선인 +DI선보다 위에 있을 때는 주가가 하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ADX 지표 보는 법

1) ADX 지표가 상승할 때는 주가가 상승이든 하락이든 분명한 추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진행추세의 강도가 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ADX 지표가 하락할 때는 현재 진행 중이던 추세가 끝나고 새로운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ADX가 20 아래에서  20선을 상향 돌파할 때에  상승추세던 하락추세던 그 추세가 강화됩니다.

4) ADX가 30 이상이면 확실한 추세가 형성됩니다.

5) ADX가 상승추세이면 추세가 더 강화됩니다.

6) ADX가 하락이면 횡보나 반대 방향의 추세를 예고하는 신호입니다.

 DMI 매매법

+DI와 -DI의 교차신호를 이용한 매매법

1)+DI가 -DI를 상향 돌파시 매수 관점입니다.

2)-DI 가 +DI를 하향 이탈 시 매도 관점입니다.

3) 횡보장이나 조정장에서 교차 속임수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속임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DI가 -DI를 상향 돌파한 다음날 주가가 상향 돌파한 날의 고가를 돌파하지 못하면 매수를 유보해야 합니다. 그리고 -DI 가 +DI를 하향 이탈 시 그다음 날 주가가 하향 이탈한 날의 저가를  이탈하지 않으면 매도를 유보해야 합니다.

 

 

+DI와 -DI의 이격을 이용한 매매법

1)+DI와 -DI의 교차를 이용한 매매법은 약간 늦기 때문에, +DI와 -DI의 이격을 이용한 매매법이 조금 더 빠른 대응으로 공격적인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2) 하락추세일 때 파란색선인 -DI 선이 위에 위치하고  빨간색선인 +DI선이 아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두 DI선의 이격이 넓어졌다가 축소되는 시점이 매수관점입니다.

3) 상승추세일 때 빨간색선인 +DI선이 위에 위치하고 파란색선인 -DI선이 아래에 위치하고 있을 때 두 DI선의 이격이 넓어졌다가 축소되는 시점이 매도관점입니다.

4) 일시적인 교차는 상승추세일 때 (+DI  > -DI) +DI가 -DI를 하향 이탈하려고 하다가 다시 지지받고 상승하거나, 하향 이탈했다가 다시 상승하는 것으로  일시적인 조정 후에 기존추세를 더 강화합니다. 

 +DI와  -DI, ADX 매매법 정리 

1) ADX가 상승할 때는 진행 중인 DMI 지표의 추세와 강도가 더 강화된다 것을 의미합니다.

2) +DI선이  -DI선을 상향 돌파하거나,  +DI선이  -DI선 위에 있고, 이격을 넓어지면서 ADX선이 상승세를 보일 때는 상승추세의 강화를 의미하므로 매수 관점으로  봅니다.

3) +DI선이  -DI선을 하향 이탈하거나, -DI선이  +DI선 위에 있고, 이격이 넓어지면서 ADX선이 상승세를 보일 때는 하락추세의 강화를  의미하므로 매도 관점으로 봅니다.

4) ADX가+DI선과  -DI선 아래에 있을 때는 횡보장세를 의미합니다.

5) ADX가 하락추세를 보일 때는 주가의 진행추세를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토캐스틱을 함께 이용하는 게 좋습니다.

6))ADX가 +DI선과  -DI선 아래에 있다가 상승세로 전환하면 추세전환의 강력한 신호입니다. +DI선이  -DI선을 상향돌파할 때는 매수관점으로 보고, +DI선이  -DI선을 하향 이탈할 때는 매도 관점으로 봅니다.

7) ADX가 +DI와  -DI선 위에 있을 때는 과열상태입니다. 이때 ADX가 하락 추세를 보이면 주가의 추세 변화가능성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LIST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격도  (0) 2023.08.14
MACD지표  (2) 2023.08.11
그랜빌의 8법칙  (0) 2023.08.01
적삼병과 흑삼병  (0) 2023.07.31
주식캔들(2)  (2) 2023.07.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