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주식공부

MACD지표

아지!! 2023. 8. 11.
반응형
SMALL

MACD 지표

MACD 지표는 중기 추세지표로, 단기이동평균선과 장기 이동평균선의 수렴과 확산의 성질을 이용하여 추세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적 지표입니다.

MACD 지표 설정방법

키움증권 HTS에서 MACD 지표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종합차트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면 선택창이 뜹니다. 그 선택 창에서 지표추가를 클릭하면 아래 창이 뜹니다. 아래 창에서 찾기 빈네모칸에 MACD를 입력한 다음 적용을 클릭하면 MACD 지표가 설정됩니다. 

MACD 지표 구성

1) MACD = 단기지수 이동평균선(12일) - 장기 지수이동평균선(26일)

2) MACD Signal(신호선) = N일(9일)의 MACD 지수 이동평균선

3) MACD Oscillator = MACD 값 - Signal 값

MACD 활용하는 법

1) MACD 선이 Signal 선 위에 있으면, 단기 이동평균선(12일 평균주가)이 장기 이동평균선(26일 평균주가) 보다 높다는 것으로 주가가 상승추세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2) MACD 선이 Signal 선 아래에 있으면,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보다 낮다는 것으로 주가가 하락 추세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3) MACD Oscillator는 MACD 값에서 Signal 값을 뺀 것으로 막대그래프로 표현합니다. 그 값이( + )로 나오면 상승추세이고, ( - )로 나오면 하락추세입니다.

4) MACD 값은 0을 기준으로 0선 위에 있으면 상승국면이고, 0선 아래에 있으면 하락국면입니다.

매수시점

1) MACD선이 0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관점입니다.

2)  MACD 선이  Signal 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관점입니다.

3)  Oscillator 값이 0 이하일 때 막대그래프가 확대되다가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하고 축소될 때 매수관점입니다.

매도시점

1) MACD 선이 0선을 하향 이탈할 때 매도 관점입니다.

2) MACD 선이 Signal 선을 하향이탈할 때 매도 관점입니다.

3) Oscillator 값이 0 이상일 때 막대그래프가 확대되다가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하고 축소될 때 매도 관점입니다.

MACD 매매법

1) MACD 선이 0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관점입니다. MACD 지표는 추세분석과 함께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아래 차트와 같이 MACD 값이 0선 위에 있기 때문에 상승국면입니다. 상승국면에서 MACD선이 Signal선을 하향이탈하는 단기 조정이 나오지만  추세선을 그어놓고 추세선을 이탈하고, MACD선이 0을 하향이탈하는 매도 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때 강력한 매도 신호입니다.

2) MACD 선이 Signal 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관점입니다. 그리고 MACD선이 Signal 선을 하향 이탈할 때 매도 관점입니다.  MACD선이 Signal 선을 돌파하거나 이탈할 때 매매시점이, MACD선이 0을 돌파하거나 이탈할 때 매매시점보다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MACD가 0선을 돌파할 때의 매매법은 속임수가 적지만 조금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4) MACD가 Signal 선을 돌파할 때의 매매법은 빠르게 매매를 할 수 있지만 거짓 신호가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5)  MACD Oscillator 매매법은 MACD의 Signal 선 돌파매매법보다 더 빠른 매매를 할 수 있지만 거짓 신호가 많이 발생하고 매매시점을 포착하기기가 어렵습니다. 

6) MACD 매매법은 횡보추세나 하락추세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환하는 시점을 포착하기 쉽고, 상승추세에서 추세전환 직전 보유종목의  매도 시점을 포착하는데 적합합니다.

7) 주봉과 일봉을 병행해서 보는 게 좋습니다. 주봉은 시장추세를 판단하는데 유리하고, 일봉은 조금 더 세밀한 시점을 포착하는데 유리합니다. 일봉과 주봉에서 매도 신호가 같이 나올 때까지 중장기적으로 보유하다가 수익을 극대화하고 매도할 수 있는  매매방법입니다.

 

반응형
LIST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라볼릭 SAR 지표  (0) 2023.08.15
이격도  (0) 2023.08.14
DMI지표  (0) 2023.08.09
그랜빌의 8법칙  (0) 2023.08.01
적삼병과 흑삼병  (0) 2023.07.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