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V지표
거래량은 항상 주가에 선행한다는 것을 전제로, 거래량을 통해 분석하는 지표입니다.
OBV개념
1) 전일 종가보다 주가가 상승했을 때, 당일 거래량은 전량 매수했다고 보고 전일 OBV에 더합니다.
2) 전일 종가보다 주가가 하락했을 때, 당일 거래량은 전량 매도했다고 보고 전일 OBV에서 뺍니다.
3) 전일 종가와 당일 종가가 같을때, 당일 거래량은 무시하고 전일 OBV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OBV 활용법
1)OBV 를 활용하는 것은 그 종목이 매집단계에 있는지 아니면 분산단계에 있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2) OBV가 상승하는 것은, 매수에너지가 집중되는 매집단계로 주가상승을 예고합니다.
3) OBV가 하락하는 것은, 매수에너지가 분산되는 분산단계로 주가하락을 예고합니다.
4) OBV가 상승하고 있는데 주가가 하락할 때는 주가상승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5) OBV가 하락하고 있는데 주가가 상승할 때는 주가하락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6) 주가가 계속 하락하고 있을 때 OBV는 전저점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횡보를 할 경우에, 주가 하락에 따른 매집 활동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조만간 주가 상승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7) 주가가 계속 상승하고 있지만 OBV는 전고점 아래에서 횡보할 경우에, 주가 상승에 따른 보유 주식을 처분하려는 분산활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조만간 주가하락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OBV 단점
1) 누적된 거래량의 수치로 분석하기 때문에 상승추세에서 하락추세 전환 시 거래량이 수반되지 않으면, 느린 신호발생으로 매도시점을 놓치기 쉽습니다.
2) 자전거래와 같은 비정상적인 거래량 발생 시 왜곡현상이 발생합니다.
3) 주가의 변화폭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어, 거래량 만으로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4) 변동성이 큰 중소형주의 경우 적합하지 않습니다.
OBV 설정방법
키움증권 HTS에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주식종합차트 화면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아래창에서 지표추가를 클릭하면 지표추가/전환창이 나옵니다.
아래와 같이 지표추가/전환창이 나오면 찾기 빈 네모칸에 OBV를 입력하고 적용을 클릭하면 OBV지표가 설정됩니다.
U마크와 D마크 이용
1)OBV선이 직전의 정상을 돌파해서 상승하는 경우에는 U마크를 기입합니다.
2) OBV선이 직전의 바닥을 이탈해서 하락할 경우에는 D마크를 기입합니다.
3) U마크는 단기적인 주가의 상승을 나타내는데, 단기 매입신호입니다.
4) D마크는 단기적인 주가의 하락을 나타내는데, 단기매도신호입니다.
5) U마크와 D마크는 차트에 자동으로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그려 판단해야 합니다.
OBV를 이용한 매수방법
1) OBV선이 상승 중일 때 처음 발생하는 U마크는 매수관점입니다.
2) OBV선이 장기적으로 상승추세일 때 발생하는 D마크는 매수신호입니다.
3) D마크가 발생하고 수일 후에, OBV선이 지지선의 지지를 받으면 매수신호입니다.
4) OBV선이 하락추세선을 상향돌파한 후 U마크가 발생할 때는 매수신호입니다.
5) 주가가 횡보할 때 OBV선이 상승하는 것은, 상승의 힘이 축적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매수관점으로 봅니다.
OBV를 이용한 매도 방법
1) OBV선이 장기적인 하락추세일 때 U마크가 발생하면 매도신호입니다.
2) OBV선이 하락추세 중에, 처음으로 D마크가 발생했을 때 매도 신호입니다.
3) U마크가 발생한 후 OBV선이 지지선을 이탈하면 매도 신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