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평균선이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 만든 선으로, 주식 시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5일 이동평균'을 계산하려면 5일간의 주가(종가기준)를 합산한 뒤 5로 나누면 됩니다. 이렇게 나온 매일의 값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해 나타낸 것이 바로 '5일 주가이동평균선'이 됩니다. 이동평균선으로 단기(5, 20일), 중기(60일), 장기(120일) 이동평균선이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장기적인 추세와지지, 저항을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상승할 경우 상승 추세로, 반대로 이동평균선 아래로 하락할 경우 하락 추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선은 투자자의 투자 전략에 따라 다르게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술적 분석 도구와 함께 활용됩니다.
이동평균선의 의미
5일 (일주일) :심리선 (단기매매선)
20일(한 달) : 생명선
60일(3개월) : 수급선
90일(4,5개월) : 추세선
120일(6개월) : 경기선
200/240일(10개월/1년) :대세선
이동평균선의 종류
1. 단순 이동평균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이동평균선으로,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를 모두 더한 후, 기간 수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20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20일간의 주가를 더한 후 20으로 나누어 계산됩니다.
2. 지수 이동평균
최근 가격에 더 큰 가중치를 두는 이동평균선으로, 과거 주가보다 최근 주가에 더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지수 이동평균은 주로 단기적인 추세 파악에 사용됩니다.
3. 가중 이동평균
가장 최근의 주가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는 이동평균선으로, 주가 변동의 가중치를 다르게 설정하여 계산됩니다.
이동평균선의 정배열과 역배열
정배열과 역배열은 주식의 흐름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러나 정배열과 역배열이 신호로서 효과적인지 여부는 추가적인 기술적 분석과 트레이더의 판단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러한 신호를 사용할 때에는 다른 지표와 함께 고려해야 하며, 반드시 주가의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1. 정배열
정배열은 지수의 이동평균을 그래프로 나타낼 때 위에서부터 5, 20, 60, 120일선으로 배열이 되어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주가가 지속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정배열 상태에 놓이는 것이 좋습니다.

2. 역배열
역배열이란 정배열의 순서가 반대로 나타나는 경우로 120일선이 가장 위에 있고 60, 20, 5일선 순서대로 위치하게 됩니다.
이러한 역배열은 주가가 장기간 하락하는 시기에 주로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은 역배열이나 하락 추세 구간에서는 매매를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토캐스틱 : 단기지표의 최고 (0) | 2023.07.06 |
---|---|
RSI 다이버전스 (0) | 2023.06.06 |
보조지표 : RSI 지표 (0) | 2023.06.01 |
CCI 보조지표 매매기법 (1) | 2023.05.26 |
*기술적 지표 :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0) | 2023.05.22 |
댓글